아멜리노통브의책을읽고나서, 논리학이나수사법에 대한 관심이 생겨 그에대한책을찾으러도서관에갔다. 서가를돌아다니다우연히익숙한제목의책한권이보였다. 그것이바로이책이었는데, 예전에읽은 ‘설득의심리학’이라는책과이름이비슷했다. 한번훑어보기나 하자는마음으로가볍게꺼내들어목차를펼쳤다. 10개의챕터가깔끔하게정리되어있었는데, 그중 8장의 ‘쇼펜하우어의뻔뻔한토론전략’이라는제목이눈에띄었다. 대체 어떤 방법이길래 목차에서부터 뻔뻔하다고 하는 건지 호기심에 이책을읽게되었다.
책은전체적으로무난하게읽을수있었다. 후반부로향할수록논리학이라기보다는일반철학에가까운듯했지만, 재미있었으니만족했다. 그래서애초의목적이어떻든간에편하게읽을수있었다. 그리고 궁금했던 8장을읽으려니, 아래의 경고가눈에띄었다.
‘만약 당신이 올바르고 점잖은 사람이라면, 그래서 설사 자신에게 손해가 온다 해도 진실 만을 존중하는 신사 숙녀라면, 아니 적어도 우리에게 필요한 지식은 협동과 평화에 관한 것이라는 낭만적 성품을 가졌다면, 이 장은 읽을 필요가 없다. 책을 덮고 차라리 다른 일을 해라.’
나름대로 충고하려고 한 것이겠지만, 어쨌든이렇게호기심을불러 일으키는데읽지않을수가없었다. 그래서 위의충고는접어두고계속읽었다. 그리고생각했던것보다더비열한 수법들이라 감탄했다. 이런 방법을 생각한 쇼펜하우어에대한이미지가 새롭게 갱신될정도로. 누군가토론이나논쟁을하면서이런술수를부린다면, 구경하는사람은즐거울지몰라도, 토론하는사람은아주괴로울것같다. 8장의 마지막에서 ‘논쟁술은교활해도쓰기에따라사회를해치거나시대를구할수있다.’라고마무리하지만, 그래도아름답게포장되지는않을것같다.
책에는여러일화나예시가많이들어있었기에이해하기도쉽고재미도있었다. 군데군데들어간삽화도코믹스러웠고, 글의전체적인분위기도가볍기에대중적으로많이읽힐것같다. 이책을읽고논리적이고설득력높은글쓰기와말하기를할수있겠느냐고묻는다면, 할 말은 없지만. 그래도 기교보다는꾸준한연습이선행 하지않겠나 하고 입 바른 소리를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