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

리눅스 운영체제 구조

리눅스 운영체제 구조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란 - 하드웨어 자원들을 관리하고 소프트웨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서포트를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리눅스는 운영체제의 하나로 크게 커널, 쉘, 유틸리티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 커널(Kernel) -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memory resident program)으로, 부팅 시 가장 먼저 메모리에 올라오며 항상 메모리에 상주함 3. 유틸리티(Utility) - 디스크 상주 프로그램(disk resident program)으로, 항상 디스크에 상주해 있다가 필요할 때만 메모리에 올라왔다 내려감 - command와 동일어(유저 요청 시 메모리에 올라옴) 4. 쉘(Shell) - 유틸리티가 메모리에서 언제 올라오고 내려가야 하는지 교통정리(j..

Linux 2021.12.07

행복의 정복 - 버트런드 러셀

행복의 정복 버트런드 러셀은 서문에서 이 책은 본인 경험의 산물이며, 충분한 노력만 한다면 누구나 행복해질 수 있다 믿는다고 주장한다. 그는 세상에는 질병과 가난, 투쟁, 불행, 고통 등이 팽배하기 때문에, 행복이 저절로 굴러들어오길 기대해서는 안된다고 말한다. 때문에 그에게 행복은 스스로 적극적으로 성취하는 것이며,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이 책은 그렇게 행복을 정복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들을 다룬 책이다. 책은 크게 2개의 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에서는 불행한 사람들의 이유를 다루며, 2부에서는 행복한 사람들의 이유를 다룬다. 불행한 사람들의 이야기는 반면 교사가 될 수 있겠지만, 여기서는 뛰어넘고, 저자가 말하는 행복법은 대략 이렇다. 사람과 사물에 폭..

2021.12.02

깃(Git)과 깃허브(Github)의 차이

깃(Git)과 깃허브(Github)의 차이 Git 버전 관리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s) - Git은 소스 코드를 관리하고 히스토리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로컬에서 소스 코드의 버전 관리 시 사용 - 중앙 집중식 서버를 가질 필요 없이, 로컬의 소스코드 자체를 repository 시스템으로 구성 가능 =>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s) Github 웹 기반 Git repository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 - Github는 Git repository를 호스팅하는 서비스로, Git 기능 + Git repository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다른 사람들과 협업 및 공유하기 용이함 [참고] https://blog.devmo..

Git 2021.11.12

ORA-28001 : the password has expired

오라클 11g XE 비밀 번호 만료 1.ORA-28001 password expired 에러 발생-->11g xe의 기본 비밀번호 만료일은 180일이라서 unlimited로 변경해 준다.(또는 비밀번호 변경)  2.> SELECT * FROM DBA_PROFILES WHERE PROFILE='DEFAULT' AND RESOURCE_NAME='PASSWORD_LIFE_TIME'; > ALTER PROFILE DEFAULT LIMIT PASSWORD_LIFE_TIME UNLIMITED;  --패스워드 만료일을 unlimited로 변경  > SELECT * FROM DBA_PROFILES WHERE PROFILE='DEFAULT' AND RESOURCE_NAME='PASSWORD_LIFE_TIME';  > C..

DB 2019.12.02

화씨 451 - 레이 브레드버리

화씨 451 가끔 인터넷에서 읽을 만한 책이 있나 찾아보곤 한다. 그러다 예전에 읽었던 레이 브레드버리의 '화씨 451'의 리커버 특별판이 나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읽은 지 시간이 꽤 지났던 터라 내용이 가물가물했는데, 재밌게 읽었던 것으로 기억하는지라 다시 읽어 봐야겠다고 생각해서 구매했다. 그런데 한 번 읽었던 책이라 그런지 이상하게 손이 가질 않았다. 미루고 미루다 최근에야 읽게 되었는데, 한 번 손에 잡으니 이제까지 미뤄두었던 것이 무색하게 마치 뭐에 홀린 듯, 쫓기듯이 읽어 버렸다. 다시 읽은 '화씨 451'은 예전에 읽었던 '화씨 451'과 다른 책인 것처럼 새로웠다. 책은 달라진 것이 없는데(번역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저자는 '화씨 451'을 출판 후 내용은 수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2019.11.27

SQL Processing

SQL 처리 ProcessStages of SQL Processing1. SQL Statement: client가 쿼리 질의2. Syntax Check: 문법적인 검사 수행예시) SQL 질의에서 FROM 오타SQL> SELECT * FORM emp; SELECT * FORM emp * ERROR at line 1: ORA-00923: FROM keyword not found where expected3. Semantic Check: 의미 상 검사 수행(오브젝트 유무 등)예시) emp2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데 질의SQL> SELECT * FROM emp2; SELECT * FROM emp2 * ERROR at line 1: ORA-00942: table or view does not exist4. Sha..

DB 2019.11.21

Oracle 11g XE sid 변경

Oracle 11g XE sid 변경시나리오 윈도우 환경 Oracle 11g XE의 sid를 xe -> oraDB로 변경  과정1. sqlplus 접속 확인  > sqlplus  > sys /as sysdba  > [system password] 2. 오라클 sid 확인  > select instance_name from v$instance; 3. sid 변경 전, DB 백업 4. cmd 명령  > oradim -delete -sid xe  > lsnrctl stop 5. %ORACLE_HOME%\network\admin 이동  아래 파일 수정   -listener.ora   -tnsnames.ora 6. %ORACLE_HOME%\dbs 이동  spfilexe.ora를 spfileoradb로 파일명 변경..

DB 2019.11.13

CentOS 7 & Window hostname 영구변경

CentOS 7 & Window hostname 영구변경 리눅스 hostname 변경 centos7 # hostnamectl set-hostname 새로운hostname # shutdown -r now --> 즉시 종료 후 재부팅. 윈도우 hostname 변경 cmd 관리자 모드 > wmic ComputerSystem Where Name="%COMPUTERNAME%" Call Rename Name="새로운hostname" --> ReturnValue가 0이면 정상. > shutdown -r -t 0 --> 즉시 종료 후 재부팅. GUI에서 변경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 > 설정 변경 > 변경 > 새로운 hostname으로 수정 > 확인 > 컴퓨터 다시 시작

Linux 2019.04.11

CentOS 7에서 enp0s3을 eth0로 변경

enp0s3을 eth0로 변경 eth0이 enp0s3로 바뀐 이유 centos의 경우 6버전 까지는 eth0..eth1... 식으로 이름이 주어졌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는 순서를 예측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때문에 7버전에서는 enp0s3 등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런데 일부 프로그램 등에서는 eth0 이름으로 정보를 식별하기도 해서, 다시 eth0로 바꾸어 주기도 한다. enp0s3 -> eth0 변경 ~]# vi /etc/default/grub GRUB_CMDLINE_LINUX 부분에 net.ifnames=0 biosdevname=0 추가. ~]#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 shu..

Linux 2019.03.28

수학이 필요한 순간 - 김민형

수학이 필요한 순간 도서 검색 창에 이것저것 키워드를 입력하다가, '수학'이라는 단어를 입력했다.(대체 왜 '수학'이라는 단어를 입력했는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그러다 이 책을 발견했다. 책의 부제는 '인간은 얼마나 깊게 생각할 수 있는가'였다. 그래서 단순히 깊게 생각할 때 수학이 필요하다는 의미인 건가 싶었다. 숙고하는 것에 수학이 필요하지는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저자가 어떤 의도로 제목을 지었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책을 읽게 되었다. 첫 장에서 저자는 수학에 관한 편견을 언급한다. 그는 수학과 논리학이 같지 않다고 말한다. 수학 만이 논리를 사용하는 학문은 아니며, 추상적인 부분 또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수학은 수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수학에 대한 이미지를 ..

2019.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