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13

[Jenkins] Jenkins Credentials에 등록한 환경 변수 파일(Secret file) 원격 서버(ssh)에서 사용

Jenkins Credential에 환경변수 파일을 저장하고, 원격 서버에서 해당 환경 변수 파일을 가져올 수 있다. 근데 오랜 만에 하려다 보면 어떻게 했었는지 가끔 까먹어서… 기록 용으로 남긴다. 환경 정보Jenkins 2.4xx 버전사전 준비Jenkins에 Publish Over SSH 플러그인 설치Jenkins 관리 > System Configuration > Publish over SSH에 SSH Server 등록 환경 변수 파일 등록Jenkins 관리 > Jenkins Credential에서 Add Credentials로 test-env 파일을 Jenkins Secret file로 등록한다. Freestyle project 생성1. Dashboard > 새로운 Item > Freestyle p..

인프라 2025.06.18

[Docker] Docker 이미지 최적화 전략

Docker 이미지 최적화 전략 Docker 이미지 최적화는 빌드 및 배포 속도 향상, 리소스 절약, 보안 강화, 운영 효율성 증가 등 다방면에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필수 요소만 최소한으로 포함된 이미지 일 수록, 용량이 작아 빌드 및 배포 속도가 빠를 것이고, 저장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불필요한 요소가 없어 취약점이 적고 관리도 더 수월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이미지 최적화는, 꼭 필요한 것들만 포함하되 사이즈뿐만 아니라 보안이나 운영 관리 측면에서도 고려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와 관련한 내용을 Docker 공식 문서에서 제안하는 Best practices를 기준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https://docs.docker.com/build/building/best-prac..

인프라 2025.05.28

[Kubernetes] Pod의 상태와 Lifecycle

Pod의 Lifecycle과 상태 대해 정리한 문서 (kubernetes 1.32 기준) Pod 상태Pod는 Kubernets에서의 최소 배포 단위로, 하나의 Pod 내부에 여러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Pod의 상태는 Pod 내 모든 컨테이너의 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Pod의 상태 정보는 Pod 조회 시 STATUS 값에서 확인할 수 있다.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default pod 1/1 Running 0 2d9h 여기서의 STATUS는 사용자가 알기 쉽도록 나타내는 필드이며, 실제로 Kubernetes에서 Pod가 갖는 상태는 PodStatus 객체의 필드인 phase의 값으로 ..

인프라 2025.04.29

[Karpenter] Karpenter Distruption

아래는 Karpenter 노드의 중단에 대해 정리한 내용으로, 본문 내용은 Karpenter v1.0.0 기준으로 작성되었다.Karpenter Distruption 종류수동# Node 제거kubectl delete node $NODE_NAME# Nodeclaim 제거kubectl delete nodeclaim $NODECLAIM_NAME 자동(Automated Graceful)ConsolidationDeletionReplaceDrift 자동(Automated Forceful)ExpirationInterruption 수동은 관리자(사람이)가 node나 nodeclaim을 직접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자동 중단에는 여러 세부 종류가 있는데, 크게 Automated Graceful과 Forceful 두 ..

인프라 2025.04.09

[AWS] Amazon EKS 환경에 EFS 설치

AWS EKS에서 EFS 드라이버를 설치한 뒤, EFS를 이용한 Dynamic Provisioning을 테스트 하는 문서 고려 사항 - Amazon EFS CSI 드라이버는 Windows 기반 컨테이너 이미지와 호환 안됨 - Dynamic Provisioning의 경우, 1.2 이상의 드라이버 필요 사전 확인 - 클러스터에 대한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IAM) OpenID Connect(OIDC) 제공자 필요 - aws-cli 버전 2.12.3 이상# 버전확인$ aws --version | cut -d / -f2 | cut -d ' ' -f1 - kubectl 버전은 Kubernetes 버전과 동일하거나 최대 하나 이전 또는 이후의 마이너 버전 필요# 버전 확인$..

인프라 2025.03.25

[AWS]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설정

MFA란?사용자가 시스템에 액세스하기 전에 두 가지 이상의 인증 형식을 제공해야 하는 보안 메커니즘. AWS에서 MFA는 AWS 계정과 리소스 보안을 위해 사용 됨.  1. 첫 번째 기본 인증: AWS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 2. 두 번째 추가 인증: MFA 디바이스에서 보이는 인증 코드 AWS 계정 MFA 설정(OTP 어플)0. 보안 어플 설치 : Authy, MS Authenticator, Google OTP 등등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검색 1. 관리 콘솔 로그인 : https://aws.amazon.com/ko/console/ AWS Management ConsoleAWS Support 플랜은 AWS로 성공하는 데 도움이 되는 다양한 도구, 프로그램 및 전문 지식에 대한 액세스의 조합을 제공합니다...

인프라 2024.08.08

[AWS] AWS 주요 개념 및 서비스 간단 정리

AWS(Amazon Web Services) 주요 개념 및 서비스 간단 정리 1. AWS란 컴퓨팅 자,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주요 서비스로 EC2(컴퓨팅), S3(스토리지), RDS(데이터베이스), IAM(ID 및 액세스 관리) 등이 있음 2. 컴퓨팅EC2(Elastic Compute Cloud):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가상 서버Lambda: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3. 스토리지S3(Simple Storage Service): 데이터 백업, 보관, 분석을 위한 확장 가능한 객체 스토리지EBS(Elastic Block Store): EC2 인스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영구 블록 스토리지 4. 네트워킹VPC(Virtual Private Cloud):..

인프라 2024.08.06

[보안] Log4j 취약점 Log4shell(CVE-2021-44228)

Log4j 취약점 Log4shell(CVE-2021-44228)개요 아래 글은 21년 12월 16일을 기준으로, Log4shell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는 글이다. Log4j 보안 취약점 발견 2021년 12월, Java 로깅 라이브러리 Log4j(2.x)에서 특정 문자열을 로깅하여 원격 코드 실행(RCE;Remote Code Execution)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크게 이슈가 되었다. 이 취약점은 Log4Shell(CVE-2021-44228)이라고 불린다. 해당 취약점은 사상 최악의 보안 결함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 이유는 Log4j 라이브러리가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악용할 경우 공격 받는 서버에 대해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악용하기도 쉽기 때문이다. ..

인프라 2021.12.16

[Linux] 리눅스 운영체제 구조

리눅스 운영체제 구조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란- 하드웨어 자원들을 관리하고 소프트웨어들을 실행하기 위한 서포트를 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리눅스는 운영체제의 하나로 크게 커널, 쉘, 유틸리티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2. 커널(Kernel)- 메모리 상주 프로그램(memory resident program)으로, 부팅 시 가장 먼저 메모리에 올라오며 항상 메모리에 상주함 3. 유틸리티(Utility)- 디스크 상주 프로그램(disk resident program)으로, 항상 디스크에 상주해 있다가 필요할 때만 메모리에 올라왔다 내려감 - command와 동일어(유저 요청 시 메모리에 올라옴) 4. 쉘(Shell)- 유틸리티가 메모리에서 언제 올라오고 내려가야 하는지 교통정리(job c..

인프라 2021.12.07

[DB] Oracle 11g XE sid 변경

Oracle 11g XE sid 변경시나리오 윈도우 환경 Oracle 11g XE의 sid를 xe -> oraDB로 변경 과정1. sqlplus 접속 확인 > sqlplus > sys /as sysdba > [system password] 2. 오라클 sid 확인 > select instance_name from v$instance; 3. sid 변경 전, DB 백업 4. cmd 명령 > oradim -delete -sid xe > lsnrctl stop 5. %ORACLE_HOME%\network\admin 이동 아래 파일 수정 -listener.ora -tnsnames.ora 6. %ORACLE_HOME%\dbs 이동 spfilexe.ora를 spfileoradb로 파일명 변경..

인프라 2019.11.13
반응형